참고자료

용어정리 - CPK 관리

상수리나무 블로그 2013. 6. 27. 12:16

CPK (Process Capability Index)

 

CPK는 통계적으로 산출한 공정능력을 의미하는 지수이다.

공정능력이란 생산프로세스가 얼마나 균일한 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지를 반영하는 프로세스 고유의 능력을 의미한다.

공정능력 척도는 일반적으로 품질 특성치 분포의 6시그마를 사용한다.

품질특성이 정규분포를 따르는 경우 대부분의 제품(99.73%)이 평균중심으로 6시그마 범위내에 포함되므로 생산제품의 전반적인 규격만족 정도를 가늠할 수 있다.

즉 생산하는 제품이 얼마나 스펙안에서 잘 관리되고 있는지 보는 척도이다.  

 

CPK는 CP의 개념에 공정평균의 위치를 반영해서 공정능력이 산포의 중심에서 벗어난 정도를 공정능력지수에 반영한 것이다.

CP는 간단하게 공정의 산포만 반영하는 것이며 단지 USL 및 LSL의 Spec 내에서 양적인 표현을 나타내며 공정능력을 나타내는 기본척도이며 포괄적 의미이다.

CP의 단점을 보완하여 중심치에 대한 치우침이 반영된 것으로 공정의 관리상태가 단순히 스펙의 상하한에서 움직일 때 나타나는 쏠림 문제를 개선한 것이다.

산포뿐만 아니라 공정의 Target 값에서 어느 정도 벗어나 있는지 확인할 수 있어서 대부분의 공정능력에는 CPK를 사용한다.

 

관련자료 : http://blog.naver.com/hjunsung?Redirect=Log&logNo=80167491003